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민법 의사표시
- 사실인 관습
- 의사표시
- 법조 경합
- 406조
- 후발적 불능
- 비법인
- 등기
- 108조 2항
- 35조 1항
- 실종선고 취소
- 민법 103조
- 민법 107조
- 민법
- 소멸시효 완성
- 원시적 불능
- 취소 원인
- 법정대리권
- 취소 효과
- 권리 경합
- 일부착오
- 민법 746조
- 실체관게 부합등기
- 대표기관
- 406조 효과
- 표시상 착오
- 민법상 착오
- 동기 착오
- 취소 개념
- 표시행위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취소 원인 (1)
법학, 민법, 학설, 판례

민법상 무효와 취소의 법적 성질과 효과 일부 무효란 일체로서 의욕하고, 분할이 가능한 법률행위의 일부에 무효 사유가 존재하는 경우에 일부 무효를 할 수 있다. 일부 무효는 일부만 무효이므로 남아 있는 부분은 유효하다. 민법에서 문제가 발생한 계약은 취소가 되거나 무효가 된다. 무효인 경우에는 소급하여 무효가 되므로 법률관계가 바뀌므로 취소보다 영향력이 더 크다. 이러한 무효의 법적 성질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그리고 성립과정에서 흠이 있는 경우 취소사유가 발생한다. 법정 취소사유에는 무능력, 착오, 사기 강박에 의한 경우가 있다. 이와 달리 해제는 성립 이후의 문제이다. 취소는 일방적 의사표시로 가능하며 성립한 법률행위의 효력을 소급적으로 무효화시킨다. 법률행위의 무효의 효과와 유동적 무효 상태의 거래관..
법학, 민법, 학설, 판례
2022. 5. 28. 23:51